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미주 한인 이산가족 상봉 길 열리나"

      팀 케인 연방상원의원(민주, VA)이 최근 워싱턴 한인사회를 찾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케인 의원은 지난 8월29일 버지니아 센터빌 공공도서관에서 한인 이산가족들과 만나 자신이 발의한 이산가족국가등록법안(DFNR Act)에 대해 설명하고 “여야가 힘을 합쳐 초당적으로 법안 통과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법안은 지난 5월 제니퍼 웩스턴 연방하원의원(민주, VA)과 미쉘 스틸 연방하원의원(공화, CA)이 초당적으로 공동 발의해 연방하원을 통과해 상원에 계류된 상태다. 상원법안은 약간의 수정을 거쳐 케인 의원과 마르코 루비오 연방상원의원(공화, FL)이 공동 발의했다.     법안은 북한에 가족을 둔 미국 내 한인들의 정보가 담긴 ‘국가 등록부(National Registry)’ 데이타베이스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들 이산가족과 북한 거주 가족의 정보를 종합해 향후 대면 및 비대면 상봉행사에 대비한다는 것이다.     케인 의원은 “한인 가족들이 사랑하는 가족과 만나고자 평생 노력했으나 공식적인 채널에 접근하는 데 너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이 법안을 최종적으로 성사시켜 한인 가족들에게 희망을 주고 싶다”고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산가족으로 함흥 출신의 장 송(92)씨와 전복선(87) 여사가 참석했다. 장 장로는 17세에 부모를 두고 홀로 빅토리호를 타고 거제도로 피난했다. 장 장로는 "북한에 가서 부모님의 유골을 찾아 아버지, 어머니, 동생들 모두 한 자리에 모시는 게 내 소원"이라고 했다.   전 여사는 흥남 철수 당시 부모님은 함께 피난 왔으나 언니, 오빠와 헤어졌다. 전 여사는 "부모님이 항상 북에 두고 온 자식들을 그리워 했다"고 안타까움을 전했다.     시민권을 지닌 이산가족 한인 일부는 개별적으로 북한을 여행해 가족을 상봉하기도 했으나 모두에게 기회가 돌아가지는 않는다. 한국과 북한은 지금까지 21차례에 걸쳐 대면 상봉과 7차례의 화상 상봉 행사를 개최했으나, 한인들은 이러한 기회를 얻지 못했다.    현재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하고 있으나 분단 1세대 한인들의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점차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20여년 전 민간단체의 연구에 의하면 북한에 가족을 둔 미국 한인은 1만명 정도였는데, 지금은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한편 이 날 만남에 통역으로 참석한 이현정 교수(워싱턴 과학기술대)는 "한인 1.5세로 오늘 만남으로 이산가족 상봉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됐다"며 "법안 통과로 미주 한인 이산가족들과 그 후손에게 새로운 희망이 싹텄으면 한다"고 전했다.     박세용 기자 spark.jdaily@gmail.com이산가족 미주 한인 이산가족들 이산가족 한인 이산가족 상봉

2024-09-04

[독자 마당] 면회 장소

나는 한국공군에서 3년을 근무하고 만기 제대했다. 지금의 김포공항은 과거 한국공군 제11 전투비행단이 주둔했던 곳이다. 다른 부대처럼 정문에서 가까운 곳에 면회실이 있었다. 군 복무 중인 병사와 민간인이 만나는 곳이다. 면회 오는 사람 중에는 가족도 있고, 친구도 있고, 애인도 있었다. 그렇게 짧은 시간이지만 서로의 그리움을 나눌 수 있었다.     샌디에이고 인근에는 미국과 멕시코 국경이 있다. 양국을 오가는 차량과 사람들로 종일 붐비는 곳이다. 그러나 미국과 멕시코에 사는 사람 누구나 국경을 자유롭게 왕래할 수는 없다. 서류미비자들은 출입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미국에 사는 서류미비자와 멕시코에 사는 가족이 만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국경 출입국 사무소 옆 담장은 철조망으로 되어 있다. 이 철조망을 사이에 두고 양국의 가족이 만나는 것이다. 다만 철조망 구멍은 겨우 손가락 하나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작다. 이쪽에서 손가락을 넣으면 저쪽에서 만져보고, 저쪽에서 손가락을 넣으면 이쪽에서 만져보는 방법밖에 없다. 때로는 엄마가 갓난아기의 손가락을 잡아 철조망 구멍 사이로 넣으면 반대편에 있는 할머니,할아버지가 손주의 손가를 만져보는 식이다.      그런데 헤어진 가족의 손가락을 만지기는커녕 생사조차 알 수 있는 사람들도 있다. 바로 한국 이산가족들이다. 한반도는 이제 분단 80년이 되어 간다. 그 긴 시간 이산가족들은 많은 고통을 겪었다. 연방의회도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이산가족들이 북한의 가족을 만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결의안을 추진하고 있다.     나는 왜 남북으로 흩어진 가족이 만날 수 없는지 지금도 의아하다. 휴전선 부근에 면회소를 하나 마련하거나 아니면 철조망을 사이에 두고서라도 남북한 사람들이 만날 수 있게 하는 방법은 불가능한 것인가?   서효원·LA독자 마당 면회 시간 이산가족들 한인 이산가족들 철조망 구멍

2024-04-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